부산 76

다대포진 첨절제사 윤흥신 장군상

2025.02.07.초량 고관 입구에 있습니다.임진년에 고니시 유키나가가 이끄는 왜군이 가장 먼저 공격한 곳이 부산진(음력 1592.04.14.)과 다대포진(음력 1592.04.15.), 동래 읍성(음력 1592.04.15)이고 부산진에서 정발 장군, 다대포진에서 윤흥신 장군, 동래 읍성에서 송상현 부사가 순절했습니다. 다대포진에서는 윤흥신 장군의 동생 윤흥제도 함께 싸우다 전사했습니다.윤흥신 장군의 아버지는 윤임입니다. 윤흥신의 고모가 중종의 비(장경왕후)였고, 장경왕후 사후 계비가 문정왕후입니다.장경왕후 쪽 대윤(윤임)ㆍ문정왕후 쪽 소윤(윤원형)이 후계자 문제로 세력다툼을 하게 되었고, 윤임은 을사사화로 사약을 받았습니다.임진왜란 때 윤흥신의 공로로 윤임은 영의정에 추증되었습니다.윤흥신 장군 형제가 ..

부산 2025.02.09

영남대로 홍보물

2024.11.25.동해선 동래역 근처에 영남대로에 관한 홍보물(?)이 있습니다.집으로 오는 길에 걸어 오다가, 보는 순간, 부산박물관에서 했던 기획전이 생각나서 가까이 가서 보았습니다.나중에 확인해 보니, 부산박물관 기획전 도록 표지의 그림을 활용한 것이 맞았습니다.영남대로는 부산에서 서울로 가던 대표적인 길인데, 개화기에 신작로와 철도가 만들어지면서 영남대로의 일부 지역은 쇠퇴하기도 했습니다.주민들, 특히 학생들ㆍ젊은이들이 오며가며 영남대로 자료를 보면 좋겠습니다.

부산 2025.01.01

두모진 해관 터

2024.12.30.부산진세무서가 자리한 곳이 우리나라 최초의 세관인 두모진 해관이 있던 곳입니다.비석의 뒷면에 두모진 해관의 내력이 쓰여 있습니다.해관은 세관을 일컫는 말이고, 세관은 관세를 관리하는 곳입니다.우리나라는 1876년 강제로 개항을 하게 되었고, 일본의 상인들은 우리나라에 관세를 내지 않고 물건을 들여와 우리나라에 팔았으니, 막대한 부를 축적했을 것입니다.조선 정부는 차차 관세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1878년에는 두모진에 우리나라 최초의 해관이 들어섰습니다.그 자리가 지금은 세무서가 되어 있으니, 지역의 기능이 역사적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이 자리가 지금은 큰 길의 안쪽으로 좀 들어가서 있지만, 부산진매축을 하기 전에는 바닷가와 좀 더 가까웠을 것입니다.

부산 2024.12.31

부산진매축기념비

2024.12.30.부산동부경찰서 정문 옆에 부산진매축기념비가 있습니다.앞 면에 "부산진매축기념비 조선총독 남차랑 서"라고 쓰이어 있습니다.南次郞, 미나미 지로는 1936년~1942년에 제7대 조선 총독이었습니다.뒷면에는 "소화 14년"이라고 쓰여 있어서 1939년에 이 비가 세워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나고야 조선기업주식회사"도 쓰여 있습니다.기념비의 앞 바닥에는 매축 전과 후의 지도가 그려져 있습니다.지금 서서 기념비를 볼 수 있는 곳이 바다였던 곳이지요. 상전벽해.

부산 2024.12.31

서문쇄약ㆍ남요인후

2024.12.30.부산진성 서문 성곽 우주석에 새겨져 있는 글입니다."서문쇄약" : 서문은 나라를 지키는 자물쇠 같은 곳."남요인후" : 이곳은 나라의 목에 해당되는 남쪽 국경.부산진역 근처 수정동의 수정가로공원에 꾸며져 있습니다.버스 타고 지나며 수없이 봤지만, 사진을 찍기는 처음입니다.얼핏 보면 바탕의 그림이 무엇인지 모를 수도 있습니다.녹이 슬고 있는 철 부분은 육지이고, 벽돌모양 돌 타일은 바다입니다. 가운데 아래에 있는 섬은 영도입니다. 비정형 곡선은 해안선이지요. 매축이 이루어지기 전의 해안선일 것입니다.저는 서울 종로구 태생이지만, 1968년에 처음 부산에 온 이후로 오랜 시간을 부산사람으로 살다보니, 부산의 이러한 역사가 눈에 들어오고 있습니다. 흥미롭습니다.

부산 2024.12.31

스웨덴 참전 기념비

2024.12.03.서면 롯데백화점 부산본점 정면을 바라보며 왼쪽 모서리 부분을 보면 《스웨덴 참전 기념비》가 있습니다. 6ㆍ25 전쟁 당시 스웨덴이 우리를 돕기 위해 참전했는데, 전투병력이 온 것이 아니라, 의료팀이 온 것입니다.그리고는 지금의 서면 롯데백화점 자리에 야전병윈이 들어섰더랬습니다. 서전병원입니다(1950년).6ㆍ25 전쟁이 휴전된 후 1955년에는 대연동으로 이전했는데, 지금의 부경대학교 자리입니다.1957년에는 국립의료원 설립을 지원하고 철수했습니다.부산근현대역사관 상설전시실(4층)에 가면 서전병원과 관련된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서면 롯데백화점 근처를 오가는 그 많은 사람들이 이 기념비를 한번씩 바라보고 지나가면 좋겠습니다. 온갖 멋진 물건들과 맛있는 것들을 팔고 있는 자리에 그때는 ..

부산 2024.12.03

도모헌

2024.10.16. 도모헌은 대통령 지방 숙소였다가 부산시장 관사였습니다. 지금은 시민에게 개방하고 있습니다. 건물 1층에는 카페 모모스가 입점했는데, 제가 들어갔다가 나올 때까지, 음료를 사려는 줄은 없어지지를 않고 계속되네요. 받은 음료와 디저트를 가지고 실내외 모든 곳에서 먹고 마실 수 있습니다. 계단형 강의실에서도, 세미나실에서도, 테라스ㆍ정원에서도 끼리끼리 모여 앉아서 음료를 마시며 담소하고 있습니다. 주차장은 KBS 옆에 있어서, 주차 후 조금 걸어 올라가야 합니다. 남천동에 아파트가 많지 않을 때는 광안리 바다가 잘 보였겠습니다. 드라마 촬영을 했다는 얘기도 들은 것 같구요. 그럴 만합니다. 백남준 아카이브전을 한다고 해서 갔는데, 집구경도 잘 했습니다.

부산 2024.10.16

부산 수정동 일본식 가옥

2024.09.26. "문화공감 수정"이라고 검색해도 나옵니다. 1943년에 지어진 집입니다. '오 초량'이 관리가 더 잘 되고 있는 듯합니다.(입장료에 큰 차이가 있지요 ㅎ) 집 구경을 하고 다니다 보니, 누군가 작업을 하고 계셔서 직원인가 했는데, 작품 전시 마무리를 하는 작가였습니다. 그러고 보니, 민화가 여기저기... 민화만 그리는 것이 아니고 자연 안료에도 관심이 많다는군요. 展입니다. 문화재인 일본식 가옥을 보러 갔다가, 작품들도 보고 나왔습니다.

부산 2024.10.11

창비 부산

2024. 09. 26. 부산역 바로 앞, 길 건너 골목으로 몇 걸음 가면 옛 백제병원이 있습니다. 1층은 카페 브라운 핸즈 2층은 창비 부산 3층은 갤러리 이비나인 이 있습니다. 창비 부산은 출판사 '창작과 비평사'에서 만든 공간입니다. 한 마디로 GOOD!!입니다. 한 번은 꼭 가보시라고 추천하고 싶습니다. 창비의 책을 앉아서 읽을 수도 있고, 구입할 수도 있습니다. 한쪽에는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 유산 답사기" 출간 30주년 기념으로, 공간을 꾸며 놓았습니다. 유홍준 교수가 직접 그리신 부채 그림도 있고, 사진과 사용하신 소품들도 전시되어 있습니다. 기념할 만한 일이지요. 전 국민을 한국미술사에 빠지게 하셨으니... 전시도 있었습니다. 단아한 그림들이 마음에 듭니다. 원도심의 오래된, 기념할 만..

부산 2024.10.11

준공기념비 - 국제시장

2024. 10. 10. 국제시장 3공구 A동 1층 계단 옆에 파묻혀 있습니다. "국제시장" 영화 덕에 유명해진 '꽃분이네' 근처입니다. 꽃분이네는 예전에는 액세서리를 팔았던 것 같은데, 지금은 소박한 카페가 되어 있습니다. 준공기념비. 1953년 1월에 국제시장에 대화재가 있었고, 잿더미에서 다시 국제시장을 세운 기념비입니다. '단기 4286년(1953년) 7월 17일 국제시장복구대책위원회 위원장 염성조'라 음각한 것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다른 글씨들은 알아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1953년 7월 27일에 6ㆍ25전쟁 휴전을 했으니, 휴전하기 10일 전에 준공비를 세웠군요. 즉 6ㆍ25전쟁 중이었다는 것이지요. 전쟁기간동안 임시수도가 되고, 전국에서 피란민들이 몰려들었던 부산은 물도, 전기도, 일자리도..

부산 2024.10.10